철도토목기능사 자격증 취득 과정 정리

2024. 10. 24. 22:23자격증

철도토목기능사 자격증 취득 과정 정리

철도토목기능사철도 궤도 부설 및 유지관리를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국가기술자격으로, 토목 분야에서 중요한 자격증입니다. 철도 관련 작업을 담당하는 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국토교통부에서 주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이 관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철도토목기능사 자격증의 취득 절차와 활용 방안을 안내하겠습니다.


1. 개요

철도토목기능사철도 궤도 부설 및 유지관리 작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사를 양성하는 자격증입니다. 철도 및 궤도설치, 유지보수, 측정 작업 등을 담당하며, 철도 기술사철도토목기사 등 상위 자격증을 취득하는 데 기초가 되는 자격증입니다. 시험은 1년에 한 번 실기시험이 시행되며, 필기시험은 격년제로 진행됩니다.


2. 변천 과정

철도토목기능사는 1974년 보선기능사 2급으로 처음 신설되었으며, 이후 1998년 보선기능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2012년에는 현재의 철도토목기능사로 명칭이 바뀌어, 철도와 관련된 토목 작업을 담당하는 자격증으로 발전하였습니다.


3. 시험 구성

철도토목기능사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3.1 필기시험

필기시험은 철도 궤도 부설 및 유지관리 한 과목으로 구성되며,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출제됩니다. 60점 이상 득점 시 합격입니다. 필기시험은 격년제로 시행되며, 2023년부터 NCS 기반으로 개편된 시험 내용이 적용되었습니다.

필기시험 주요 내용:

  1. 레일 용접
  2. 자갈도상 궤도 부설
  3. 콘크리트도상 궤도 부설
  4. 분기기 부설
  5. 부대 공사
  6. 궤도장비 운용
  7. 궤도 보수

3.2 실기시험

실기시험은 100% 작업형으로 진행됩니다. NCS 기반으로 개편된 실기시험 내용이 2022년부터 적용되었습니다.

실기시험 주요 내용:

  • 주어진 시간: 1시간
  • 작업 내용:
    • 선로 측정: 궤간, 수평, 면, 줄틀림 측정 작업
    • 궤도 재료 산출: 궤도 재료의 명칭과 수량을 산정하는 작업

과거에는 필답형작업형이 혼합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현재는 작업형으로만 진행됩니다.


4. 필기시험 격년제 시행

2021년부터 필기시험은 격년제로 시행되고 있으며, 2년에 한 번씩 응시할 수 있습니다. 최근 3년간 필기시험 응시 인원이 적어, 이러한 제도가 적용되었습니다. 2023년 필기시험에서는 총 59명이 응시하였습니다.


5. 여담

철도토목기능사는 의무검정이 가능한 시험임에도 불구하고, 응시 인원이 많지 않아 실기 합격률은 높은 편입니다. 예를 들어, 2023년 실기시험에서는 18명이 응시하여 100% 합격을 기록하였습니다.


6. 자격증 취득 후 활용 방안

  1. 취업 기회: 철도토목기능사 자격증을 소지하면 철도 관련 공사에서 궤도 부설 및 유지보수 전문가로 일할 수 있습니다. 철도 유지보수, 궤도 보수 등의 현장 작업을 담당할 수 있으며, 국토교통부 산하의 다양한 철도 관련 업체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2. 경력 발전: 경력을 쌓으면 철도토목기사, 철도 기술사 등 상위 자격증 취득을 통해 관리자기술사로 승진할 수 있습니다.
  3. 우대 조건: 철도 관련 공공기관대형 건설사에서는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며, 승진 시 가산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철도토목기능사 자격증은 철도 궤도 부설 및 유지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기술을 검증하는 자격입니다.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나뉘어 있으며, 필기시험은 격년제로 시행되므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면 철도 관련 공사에서 전문 기술인으로 활동할 수 있으며, 경력을 쌓아 상위 자격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